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봄철 마다 찾아오는 황사, 그리고 잦은 미세먼지로 인해 마스크는 어느덧 생활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더욱 상황에 맞게 잘 알고 써야 경제적인 방법으로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마스크 등급에 대해 알아보고 마스크 테마주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마스크 인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식약처 인증의 보건용마스크 인증 기준인 KF등급
  2. 고용노동부 고시의 방진마스크 인증 기준인 특급, 1급, 2급 등급

KF등급 마스크의 시험항목은 4가지 입니다. 흡기저항, 포집효율, 누설율, 머리끈 인장강도

이는  방진마스크 시험항목의 갯수인 14가지 보다 적어, 간소화된 인증 절차를 통해 기본적인 성능을 갖춘 제품들이 저렴한 가격에 국민건강을 위해 공급되고 있습니다.

 

 

 

식약처에서 제시하는 KF등급 기준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마스크 등급 및 기준

쉽게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KF80: 입자직경 0.6 μm을 80% 이상 여과
  • KF94: 입자직경 0.4 μm을 94% 이상 여과
  • KF99: 입자직경 0.4 μm을 99% 이상 여과

 

이를 더 쉽게 표현하면 전염병 방지를 위해서는 KF94, KF99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용 마스크 KF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민감한 시기에 인증된 마스크를 쓰셔야 마음이 놓일것입니다.

과대, 과장광고를 한 마스크를 피하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 본인이 쓰는 마스크가 2019.1.15 기준 식약처에서 인증 받은 마스크인지 다음 엑셀파일에서 꼭 확인하고 착용바랍니다.

엑셀파일에서 ctrl+F 키를 이용하여 제품명이나 업체명 검색을 통해 확인하시면 됩니다.

 

 

보건용마스크_허가현황_(2019.1.15.현재기준).xlsx
0.05MB

 

 


 

 

 

지금부터는 방진마스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진마스크는 보건용마스크 보다 더욱 엄격한 인증절차를 거칩니다. 고용노동부고시 제 2014 - 46호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를 참고하면 됩니다. 아래에 첨부한 파일에서 방진마스크는 8쪽, 109-131쪽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방진마스크는 일상생활이 아닌 극한의 산업현장에서 쓰이는 마스크이므로 비싸지만 성능면에서는 더 뛰어납니다. 따라서 보건용마스크가 없다면 방진마스크를 대체해서 사용해도 좋습니다.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2014-46호)전문.hwp
6.57MB

 

 

 


 

 

 지금부터는 마스크 테마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테마주의 정의는 하나의 주제를 가진 사건에 의해 주가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종목들을 의미합니다. 그 중 오늘은 황사, 미세먼지, 전염병과 관련있는 마스크 테마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추후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테마인 대선테마도 다뤄보겠습니다.

 

 마스크 테마주 3개의 차트 먼저 보겠습니다.

 

오공 차트
국제약품 차트
모나리자 차트

 

 마스크를 생산하는 모든 기업이 마스크 테마주로 엮여 단기간에 2~3배 정도의 상승을 보이지는 않습니다.

(마스크를 생산하는 JW중외제약의 경우는 위의 차트와 다른 흐름입니다.)

 

'테마'라는 것인 인위적인 시장의 흐름이기 때문에 '테마' 자체도 인위적으로 설정이 되며, '테마주' 종목도 인위적으로 설정됩니다. 사실 오르기 전까지는 누구도 어떤 종목이 테마주가 될지 모릅니다. 다만 한 번 유명해진 종목은 일반인들이 뛰어들기 쉽기 때문에 몇 년 뒤에 마스크 테마가 뜨게 된다면 위의 종목들일 가능성이 큽니다.

 자세히 보시면 세 종목간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급등시작시기와 피크를 찍고 떨어진 시기가 같습니다. 그 시기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 거래량이 급등한 1월 10일: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확진자가 나온 날
  • 주가가 피크를 찍은 2월 3일: 사실상 큰 의미가 있는 날은 아니지만 온 국민이 마스크 테마주의 존재를 알 수 있는 시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행에 대한 발자취는 아래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kr.theepochtimes.com/%EC%9A%B0%ED%95%9C-%ED%8F%90%EB%A0%B4-%EC%8B%A0%EC%A2%85-%EC%BD%94%EB%A1%9C%EB%82%98%EB%B0%94%EC%9D%B4%EB%9F%AC%EC%8A%A4-%EB%B0%9C%EB%B0%9C%EC%97%90%EC%84%9C-%ED%99%95%EC%82%B0%EA%B9%8C%EC%A7%80_517174.html

 

[우한 폐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발에서 확산까지 (계속 업데이트) - 에포크타임스

지난해 12월 중국 중부 도시 우한(武漢)에서 발생한 폐렴과 관련해 세계보건기구(WHO)는 13일 이 바이러스를 ‘20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로 명명했다. 현재 ...

kr.theepochtimes.com

 

 

 대부분의 테마주가 위와 같이 어떤 트리거를 통해 거래량이 급등하면서 주가가 뛰기 시작합니다. 이런 소식들은 며칠뒤에 뉴스에도 나오고 대중들에게도 알려져 시장의 돈이 그 종목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됩니다. 이 타이밍이 먼저 테마에 진입했던 사람들이 주식을 팔고 나옵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유행 시기와는 상관없이). 그럼 주가가 떨어지고 다시 원래의 주가로 돌아가게 됩니다.

 비슷한 예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테마인 대선테마의 주식도 대선 전날까지만 오르고, 설령 그 후보가 당선이 되더라도 당일에는 떨어지기 시작하여 결국 제자리로 돌아갑니다. 주가를 움직이는 힘이 기대감에 있지 않고 단순히 테마에만 있기 때문입니다.

'산업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와 금융시장-정운찬 저  (1) 2023.02.01
규모 비교 (업데이트 21.08.20)  (0) 2021.08.20
삼성전자 주식 언제 사야할까?  (0) 2020.03.1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무엇인지, 그 예방수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개요

2. 코로나바이러스란?

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nCoV)의 근원

4. 어떻게 전염되는가?

5. 증상

6. 진단

7. 예방

 

순서로 알아보겠습니다. 바쁘신 분들은 [7. 예방]만 빠르고 정확히 참고하세요.

 

 

1. 개요

 2019년 말 중국 우한시에서 집단 폐렴증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12월 12일 날에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증후군으로 밝혀졌습니다. 추후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Novel coronavirus(nCoV)라 지칭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라고 부릅니다. 이 바이러스는 1월경 부터는 급속하게 퍼져나갔으며, 중국내 최대 연휴인 춘절이 겹치며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

 

 

2. 코로나바이러스(nCov)란?

 코로나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인 RNA가 protein spikes가 있는 envelop에 둘러쌓여 있는 형상을 가졌습니다. Corona는 라틴어로 왕관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proten spikes의 모양이 왕관을 닮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형태

이미지출처:

https://thenativeantigencompany.com/wp-content/uploads/2019/11/Coronavirus-Diagram.png

 

 앞선 사스(2003년), 메르스(2012년) 사태와 더불어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때문에 코로나바이러스라 하면 매우 위험한 전염병을 떠올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모든 코로나바이러스가 매우 위험한것은 아닙니다. 일부 코로나바이러스만이 중증 폐렴 등의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나머지 코로나바이러스는 계절성 성인 감기 환자의 10~3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흔히 겪는 감기 증상만 일으킬 뿐입니다.

 

 사람에게 감염되는 코로나바이러스 7종을 증상에 따라 두 분류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 감기 증상을 일으키는 4종: HCoV 229E, HCoV NL63, HCoV OC43, HCoV HKU1
  • 중증폐렴을 일을킬 수 있는 3종: SARS-CoV(2003년), MERS-CoV(2012년), 2019-nCoV(2019년)

 

3. nCoV의 근원

 코로나바이러스는 평소에는 야생동물을 숙주로 살아갑니다. 이 바이러스가 유전자 변이 일으켜 우연한 접촉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이 됩니다. 동물에게서 사람으로 감염되는 과정을 "spillover"라고 부릅니다. 예를들어 SARS는 박쥐와 사향고양이에게서, MERS는 박쥐와 낙타에게서 사람으로 넘어왔습니다. nCoV의 숙주는 박쥐로 추정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4. 어떻게 전염되는가?

 '호흡기 바이러스'의 전파 경로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비말감염
  2. 공기감염
  3. 접촉감염

 비말은 '튀어서 흩어지는 물방울'이란 뜻인데, 사람의 침, 콧물을 의미합니다. 비말의 크기는 5㎛ 이상입니다. 일반적으로 한 번의 기침으로 약 3000개의 비말이 2m 반경에 뿌려지고 떨어집니다. 한국에어로졸학회의 자료에 따르면 비말 내에서 바이러스의 생존 시간은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3시간, 변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24시간까지도 생존 가능한 것으로 추정합니다. 따라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비말감염을 피하려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타인과 2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감염은 바이러스 입자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흡입되어 감염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하지만 수분이 없이 바이러스가 공기중에 오랜 시간 생존하는 것은 힘듭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도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공기감염은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습니다.

 접촉감염은 병원체가 묻은 물품에 직접 닿아 피부나 점막으로 감염되는 것을 말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접촉감염에 대한 위험성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5. 증상

 많은 경우가 열과 기침, 짧은 숨 등의  감기 증상에서 끝납니다. 그러나 심각하다면 중증 폐렴에 의한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아직 nCoV의 정확한 치사율에 대한 통계는 나오지 않았으나, 중증폐렴을 일을킬 수 있는 3종의 코로나바이러스인 사스, 메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염성과 치사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염성(세계보건기구 추정) : 메르스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사스
  • 치사율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3% 추정) < 사스(10%내외) < 메르스(20~40%)

 

6. 진단

감기 증상이 있는 경우 자가격리를 우선하시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전화번호 1339)로 먼저 전화하여 상담 후 안내에 따라야합니다. 먼저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일은 없어야합니다. 추후 병원에 방문하게 된다면 염기서열 분석인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진단을 합니다. 염기서열 분석은 유전자 검사와 같은 원리입니다.

현재 nCoV에 대한 백신이나 확정적인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불안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감염자의 면역력으로 충분하다 판단하여 대증요법을 통해 치료하게 됩니다.

 

 

7. 예방

 가장 중요한 것이 예방입니다.

 예방에서 가장 중요한 네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손 씻기                     - 30초간 꼼꼼히 자주 손을 씻습니다.
  2. 기침예절 지키기         - 기침은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해야합니다.
  3. 해외여행력 알리기      - 의료기관 방문시 의료진에게 꼭 알려야 대처가 가능합니다.
  4. 타인과 접촉 피하기     - 사회활동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출처:

 1. 세계보건기구(WHO)

https://openwho.org/courses/introduction-to-ncov

 

 

Emerging respiratory viruses, including nCoV: methods for detection, prevention, response and control

Coronaviruses are a large family of viruses that are known to cause illness ranging from the common cold to more severe diseases such a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an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A novel coronavirus (CoV) was ide

openwho.org

 2.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2940&cid=43667&categoryId=43667

 

코로나바이러스

감기를 일으키는 3대 바이러스 중 하나로, 현재까지 확인된 인체 전염 코로나바이러스는 총 7종 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1930년대 닭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이후 개·돼지·조류 등에서 발견되었고, 사람에서는 1960년대에 발견되었다. | 외국어 표기 | Corona Virus(영어) | 코로나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리노바이러스와 함께 사람에게 감기를 일으키는 3대 바이러스 중 하나로,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terms.naver.com

 3. 질병관리본부

www.cdc.go.kr 

 

질병관리본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 바로가기

www.cdc.go.kr

 

'약학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세대 항암제  (1) 2020.03.18
(최신) 프로페시아 카피약 핀페시아 직구하기  (1) 2020.03.16
하루에 물은 얼마나 마셔야 할까?  (2) 2020.03.15
암과 1세대 항암제  (0) 2020.02.27
알벤다졸 & 펜벤다졸  (0) 2020.02.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