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세대 항암제를 설명드리겠습니다.

2세대 항암제의 또 다른 표현은 [표적치료제, target therapy] 입니다.

 

 

1세대 항암제는 화학치료제로 '분열하는 세포를 공격하는 치료제' 였습니다. 그러나 정상세포도 분열 속도만 느리지 분열하는 세포이므로 1세대 항암제가 정상세포를 공격하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1세대 항암제에 대한 내용은 제 블로그 다른 글을 참고해주세요

2020/02/27 - [약학과 건강] - 암과 1세대 항암제

2020/02/26 - [약학과 건강] - 구충제 알벤다졸

 

 

 

암세포'만' 공격하는 항암제를 2세대 항암제 또는 표적치료제 라고 부릅니다.

여기까지 들으면 완벽한 치료방법일거 같지만 부작용과 단점도 있으므로 끝까지 잘 읽어보길 바랍니다.

 

 

 

1. 표적치료(target therapy)란?

 이름에서도 알수있듯이 암세포에 많이 나타나는 특정 단백질이나 특정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암세포를 공격하는 치료입니다. 표적치료를 하려면 우선 조직검사를 통해 종양의 특성을 먼저 파악해야합니다. 즉, 그 종양이 어떤 단백질이나 유전적 돌연변이를 가졌는지 파악하고 이를 표적으로 작용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같은 폐암이라고 하더라도 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사용하는 약이 다릅니다. 표적은 정확히 알지 못하거나 표적이 없는 상태에서 2세대 항암제를 사용한다면 독성과 부작용만 생길 뿐입니다.

 

 

2. 표적치료제의 종류

표적항암제는 단일클론항체, 신호전달억제제, ㉰면역억제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단일클론항체

 항체는 우리 몸에서 면역작용들 돕는 단백질입니다. 제거해야할 대상(항원)에 항체가 붙어있으면 그 항체를 인식하는 면역세포들이 와서 항원을 공격하여 제거합니다. 이를 암세포에 적용시킨 것이 2세대 항암제입니다. 암세포에 과발현되는 것을 표적으로 붙는 항체를 치료제로 쓰는 것입니다.

 

 

2세대 항암제의 원리(빨강 동그라미가 2세대 항암제인 항체)

 

단일클론항체의 대표적 예시

  • 리툭시맙(rituximab) - 리툭산(Rituxan), 맙테라(Mabtera)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항암제. CD20 유전자 표적이 있는 악성림프종 환자에게 사용.
  • 트라스투주맙(trastzumab) - 허셉틴(Herceptin)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항암제. HER-2 유전자 표적이 있는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
  • 베바시주맙(bevacizumab) - 아바스틴(Avastin)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항암제. 암세포의 혈관을 만드는 신호물질(VEGF)에 달라붙어 차단. 많은 유형의 암에 사용.

 최근에는 항체에 방사능 물질을 붙인 항암제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항암치료인 방사능 요법은 외부에서 방사능을 투사하여 암세포에 도달하는 길에 있는 정상세포에도 손상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항체에 방사능 물질을 붙이면 그 항체가 암세포에만 붙어 있기 때문에 암세포에만 원하는 양의 방사능을 투사할 수 있습니다.

 

 

㉯ 신호전달억제제

 신호전달억제제는 대부분 타이로신카이네이즈(tyrosine kinase, TK) 억제제입니다. TK는 세포 신호전달 체계의 한 종류인데 이것을 차단함으로써 암세포가 성장을 조절하는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고 암세포의 분열을 막는 것입니다.

 

 신호전달억제제의 대표적 예시

  • 이매티닙(imatinib) - 글리벡(Glivec)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항암제. bcr-abl tyrosine kinase 의 활성을 억제하여 암 발생을 차단함. 만성골수성백혈병에 사용.
  • 닐로티닙(nilotinib) - 타시그나(Tasigna)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항암제. 글리벡에 이은 2세대 brc-abl tyrosine kinase 억제제. 글리벡에 대한 내성이 생긴 만성골수성백형병에 사용.
  • 다사티닙(dasatinib) - 스프라이셀(Sprycel)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항암제. 닐로티닙과 동일.
  • 소라페닙(Sorafenib) - 넥사바(Nexavar)이란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항암제.  VEGFR, PDGFR, RAF kinase 등 여러 단백질 kinase를 억제함. 신세포암에 사용.

㉰ 면역억제제

 면역억제제는 내 몸에 있는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잘 인식하게 도와줌으로써 암세포를 죽이도록 하는 치료제입니다.

 우리 몸의 면역은 기존의 세포와 다른 물질, 세포를 인식해서 죽이도록 작용합니다. 암세포는 이런 면역작용을 회피하기 위해 PD-1, PD-L1, CTLA-4 등의 면역회피 물질을 이용해 면역작용을 피해 살아남습니다. 따라서 암세포에 있는 이런 면역회피물질에 붙어 면역 회피 기능을 마비시키면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게 됩니다.

 

 

2. 표적치료의 단점

 표적치료도 단점이 있습니다. 

  • 표적으로 하는 특정 물질이 있는 환자에게만 효과가 있다.
  • 기존 1세대 항암제인 화학항암제에 비해 부작용은 적지만 부작용이 있다.
  • 특정 물질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표적치료제에 대해 내성이 생길 수 있다.

 

3. 암종별 표적치료제

암 종류 표적치료제
만성골수성백혈병 글리벡(Glivec), 타시그나(Tasigna), 스프라이셀(sprycel)
유방암 허셉틴(Herceptin), 타이커브(Tykerb)
비소세포성폐암 이레사(Iressa), 타세바(Tarceva)
신세포암 수텐(Sutene), 넥사바(Nexavar)
두경부암 얼비툭스(Erbitux)
췌장암 타세바(Tarceva)
위장관기저종양 글리벡(Glivec), 수텐(Sutene)
간암 넥사바(Nexavar)
림프종 맙테라(Mabtera), 벨케이드(Velcade)
급성림프구백혈병 스프라이셀(Sprycel)

 

 

출처: 표적치료에 대한 이해, 삼성서울병원

 

 

'약학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증반응  (1) 2020.03.24
탈모치료제(탈모제)  (0) 2020.03.21
(최신) 프로페시아 카피약 핀페시아 직구하기  (1) 2020.03.16
하루에 물은 얼마나 마셔야 할까?  (2) 2020.03.15
암과 1세대 항암제  (0) 2020.02.27

+ Recent posts